서정범 교수 무고 사건은 2006년 경희 대학교 서울 캠퍼스에서 일어난 성폭행 무고 사건입니다. 이 사건에 가장 큰 문제점은 고 서정범 교수를 무고한 무속인 권 모씨가 아니라 해당 교수를 혐의가 확정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진실여부와 관계없이 교수를 비방하고 직위 해제를 시킨 경희대학교 서울 캠퍼스 총여학생회(페미니스트 )에 있습니다.
2006년 11월 14일, 38세의 무속인 권모씨가 수필가이자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인 80세의 서정범 교수에게 성푝행을 당했다고 신고를 합니다. 권모씨는 서정범 교수를 성폭행 혐의로 고소하고, 녹음 테이프와 정액 샘플을 증거로 제출했습니다.
하지만 사건의 진상은 한국 무속 문화의 권위자인 서정범 교수가 연구 중에 무속인 권모씨에게 자문을 구한 일이 있었는데, 그 때 연정을 품은 권모씨가 관계를 요구했다가 거절당하자 고소를 한 것입니다.
그 후에 경희대학교 측은 사건 경과를 지켜보려고 했으나, 서울 캠퍼스 총여학생회가 총장에게 질의서를 보내고 언론에 보도자료를 살포하고 총여학생회가 주도하는 시위까지 행하였습니다. 결국 메이저 언론사에서까지 보도가 나자 경희대학교 측은 서정범 교수를 2007년 1월 30일에 직위해제 처분을 내립니다.
나중에 녹음 테이프와 정액샘플이 조작인 걸로 판명되고 서정범 교수는 무혐의 처분을 받고 권모씨가 무고죄로 불고속 기소됩니다. 그러나 권모씨에게 어떠한 결과가 나왔는지 알려진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서울 캠퍼스 총여학생회는 무고 판결 이 후에 비판을 받자, 사과를 하지는 않고 애매모호한 표현과 말장난이 담긴 성명서를 냅니다.
성명서의 주내용은
"이번에 우리 총여학생회가 사과를 하게 되면 서정범 교수야 어떻든간에 '총학생회의 입지가 좁아지는 독이 든 사과를 먹는 행위' 가 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권모 무속인의 무고죄로 판명이 났지만 세상에는 원래 여성 피해자들이 더 억울하게 내몰리고 있으니 사과 못하겠다."
이었고, 그들은 마지막 남은 자존심하나를 지키기 위해 비인간적인 자세를 고수합니다.
결국 총여학생회 2009년 7월 14일 서정범 교수가 별세할때까지 사과를 하지않았으며, 자신들에게 항의하는 여론에 대하여 "마녀사냥을 당하고 있다", "성폭력은 나쁜 것!"라고 반박했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서정범 교수가 억울한 누명으로 생긴 울분때문에 유명을 달리했다고 보고 있으며, 근본적인 원인이 무고한 사람에게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사회적으로, 정신적으로 압박을 한 서울 캠퍼스 총여학생회가 서정범 교수를 죽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서정범 교수는 그렇게 떠났는데 위의 사진처럼 행복하고 떳떳하게 페미니즘을 외치는 살인자들을 기억하셔야합니다. 페미니즘에 의해 누군가가 사회적, 정신적 그리고 금전적 피해를 보았는데도, 페미니즘이기 때문에, 그리고 여자이기때문에 아무런 벌을 받지않는 다는 것은 너무나 옳지않습니다.
For Saram, 사람을 위하여는 페미니즘에 의하여 희생된 서정범 교수에게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2006년 11월 14일, 38세의 무속인 권모씨가 수필가이자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인 80세의 서정범 교수에게 성푝행을 당했다고 신고를 합니다. 권모씨는 서정범 교수를 성폭행 혐의로 고소하고, 녹음 테이프와 정액 샘플을 증거로 제출했습니다.
하지만 사건의 진상은 한국 무속 문화의 권위자인 서정범 교수가 연구 중에 무속인 권모씨에게 자문을 구한 일이 있었는데, 그 때 연정을 품은 권모씨가 관계를 요구했다가 거절당하자 고소를 한 것입니다.
그 후에 경희대학교 측은 사건 경과를 지켜보려고 했으나, 서울 캠퍼스 총여학생회가 총장에게 질의서를 보내고 언론에 보도자료를 살포하고 총여학생회가 주도하는 시위까지 행하였습니다. 결국 메이저 언론사에서까지 보도가 나자 경희대학교 측은 서정범 교수를 2007년 1월 30일에 직위해제 처분을 내립니다.
※ 당시 경희대 총여학생회장 조이미진, 부총여학생회장 강임다은. 현재 민주 노동당에서 페미니즘과 정치 관련 활동 하는 것으로 추정 중
나중에 녹음 테이프와 정액샘플이 조작인 걸로 판명되고 서정범 교수는 무혐의 처분을 받고 권모씨가 무고죄로 불고속 기소됩니다. 그러나 권모씨에게 어떠한 결과가 나왔는지 알려진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서울 캠퍼스 총여학생회는 무고 판결 이 후에 비판을 받자, 사과를 하지는 않고 애매모호한 표현과 말장난이 담긴 성명서를 냅니다.
성명서의 주내용은
"이번에 우리 총여학생회가 사과를 하게 되면 서정범 교수야 어떻든간에 '총학생회의 입지가 좁아지는 독이 든 사과를 먹는 행위' 가 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권모 무속인의 무고죄로 판명이 났지만 세상에는 원래 여성 피해자들이 더 억울하게 내몰리고 있으니 사과 못하겠다."
이었고, 그들은 마지막 남은 자존심하나를 지키기 위해 비인간적인 자세를 고수합니다.
결국 총여학생회 2009년 7월 14일 서정범 교수가 별세할때까지 사과를 하지않았으며, 자신들에게 항의하는 여론에 대하여 "마녀사냥을 당하고 있다", "성폭력은 나쁜 것!"라고 반박했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서정범 교수가 억울한 누명으로 생긴 울분때문에 유명을 달리했다고 보고 있으며, 근본적인 원인이 무고한 사람에게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사회적으로, 정신적으로 압박을 한 서울 캠퍼스 총여학생회가 서정범 교수를 죽였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서정범 교수는 그렇게 떠났는데 위의 사진처럼 행복하고 떳떳하게 페미니즘을 외치는 살인자들을 기억하셔야합니다. 페미니즘에 의해 누군가가 사회적, 정신적 그리고 금전적 피해를 보았는데도, 페미니즘이기 때문에, 그리고 여자이기때문에 아무런 벌을 받지않는 다는 것은 너무나 옳지않습니다.
For Saram, 사람을 위하여는 페미니즘에 의하여 희생된 서정범 교수에게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